[앵커]<br />조류인플루엔자, AI 여파로 달걀 부족 사태가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산 달걀이 지난 주말(14일) 처음으로 대량 수입됐습니다.<br /><br />파손되기 쉬운 제품인 만큼 들여오는 과정도 특급 수송 작전을 방불케 했는데요.<br /><br />취재기자 연결해, 자세한 뒷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. 강진원 기자!<br /><br />지난 토요일이죠.<br /><br />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화물기를 통해 미국산 달걀 200톤, 약 300만 개가 수입됐는데 깨지거나 상한 달걀은 없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깨지거나 상하기 쉬운 신선식품인 만큼 그런 우려가 있었는데요.<br /><br />확인 결과 운송 과정에서 파손된 달걀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미국산 달걀 수입에 대한 관심이 큰 만큼 수입업체와 항공사가 운송 과정에 각별히 신경 쓴 덕분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실제로 대한항공 등 항공사들은 달걀 운송 전에 항공기 제작사에 자문까지 했다는 후문입니다.<br /><br />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기압 변화와 이착륙 과정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포장 역시 일반 화물보다 더 꼼꼼하게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달걀을 담은 판과 판 사이에는 플라스틱 완충재가 들어갔고, 국제항공운송협회의 승인을 받은 전용 종이상자가 사용됐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포장된 종이상자는 철제 팔레트 위에 차곡차곡 쌓인 뒤 그물망으로 한 번 더 묶였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깨지진 않았더라도 운송과 검역 등에 시간이 걸리는 만큼 과연 신선할까라는 걱정도 드는데, 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신선 달걀의 경우 AI가 발생하지 않은 미국과 캐나다, 스페인, 호주, 뉴질랜드 등에서만 수입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등 주변국과 달리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멀리 떨어진 국가들이죠.<br /><br />이 때문에 수입 달걀의 신선도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데,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일반적으로 실온 상태에서 달걀의 유통기한은 산란 이후 30일 정도인데요.<br /><br />운송 기간 3~4일과 검역 기간 최장 8일 정도를 고려하면, 시장에 풀린 이후 유통기한은 최소 18일 정도가 남습니다.<br /><br />당국은 그러나 검역 절차를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고, 냉동 ·냉장에 의한 신선 식품 유통 방식을 적용할 경우 달걀 유통기한은 최대 45일 정도로 늘어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국내산 달걀보다 신선도가 크게 떨어지진 않을 것이라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화면을 보니 국내산 달걀과 달리 햐얀색을 띠고 있던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11612005718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